리스트 vs. 집합 (파이썬에서 리스트와 집합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리스트 (List):
- 순서가 있음: 리스트는 항목이 추가된 순서를 기억해요. 예를 들어, 쇼핑 목록을 생각해보세요. 사과, 바나나, 오렌지를 차례로 적어두면, 리스트는 이 순서를 그대로 유지해요. 첫 번째 항목은 항상 사과, 두 번째는 바나나가 되죠.
- 중복 허용: 리스트는 같은 항목을 여러 번 추가해도 괜찮아요. 예를 들어, my_list = [1, 2, 2, 3]처럼 두 번 들어간 2도 리스트는 그대로 유지해요. 중복 항목을 그대로 저장할 수 있는 거죠.
- 유연하고 다재다능: 리스트는 순서가 중요한 경우나 중복이 필요할 때 유용해요. 마치 다양한 물건이 있는 장바구니처럼, 순서와 개수를 정확히 알고 싶을 때 사용해요.
-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는 인덱스를 통해 항목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my_list[1] = 'a'라고 하면 두 번째 항목이 'a'로 바뀌어요. 또, my_list[1:3]처럼 슬라이싱을 통해 리스트의 부분 집합을 가져올 수도 있어요.
집합 (Set):
- 순서가 없음: 집합은 항목의 순서를 기억하지 않아요. 그냥 어떤 항목이 있는지만 신경 쓰죠. 예를 들어, my_set = {1, 2, 2, 3}라고 하면 집합은 {1, 2, 3}처럼 중복을 무시하고 저장해요. 순서는 중요하지 않아요.
- 중복 불가: 집합은 같은 항목을 두 번 저장하지 않아요. 중복 항목을 추가하려고 하면 그냥 무시해요. 그래서 모든 항목이 고유해요. 예를 들어, 손님 명단을 만들 때 모든 이름이 유일하도록 할 수 있어요.
- 빠른 멤버십 테스트: 집합은 특정 항목이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아주 빨라요. 많은 항목이 있는 경우, 리스트보다 집합이 더 효율적이에요. 마치 클럽 멤버십 카드처럼, 빠르게 출입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집합 연산: 집합은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같은 수학적 연산을 지원해요. 예를 들어, 두 집합 A와 B가 있으면, 합집합(A | B), 교집합(A & B), 차집합(A - B)을 쉽게 구할 수 있어요. 그룹 간의 공통 항목이나 고유 항목을 찾을 때 유용해요.
언제 무엇을 사용할까?
- 리스트 사용: 순서가 중요하고, 중복이 가능하며, 인덱스로 항목에 접근해야 할 때.
- 집합 사용: 고유한 항목이 필요하고,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빠른 멤버십 테스트나 집합 연산이 필요할 때.
요약하자면:
- 리스트는 노래 재생 목록처럼 순서가 중요하고 중복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해요.
- 집합은 우표 컬렉션처럼 순서가 중요하지 않고 모든 항목이 유일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해요.
파이썬의 collections 모듈은 기본 데이터 구조 외에도 유용한 데이터 구조를 제공하는 모듈입니다. 이 모듈은 내장된 자료형보다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여 프로그래밍을 더 편리하게 만들어줍니다.
collections 모듈의 목적 (파이썬 collections 모듈은 왜 중요한가요?)
- 특정 데이터 구조 지원: 기본 제공되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외에도 여러 가지 특화된 자료 구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defaultdict, OrderedDict, Counter, deque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최적화: collections 모듈의 자료 구조들은 내부적으로 최적화되어 있어,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deque는 큐와 스택을 모두 지원하면서 데이터 삽입과 삭제가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 편리한 기능 확장: 기본 자료형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여 프로그래밍 작업을 더욱 쉽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defaultdict는 기본값을 가지는 딕셔너리를 제공하여 키가 없어도 예외를 발생시키지 않고 기본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알고리즘에 유용: 데이터 구조가 다양한 알고리즘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unter는 데이터 요소의 개수를 쉽게 세는 데 사용되며, OrderedDict는 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합니다.
collections 모듈은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도구들을 제공하므로, 프로그래머들이 코드를 간결하게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파이썬에서 예외 처리는 코드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예상치 못한 상황을 graceful하게 다루는 방법입니다. 예외 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이 중단되지 않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예외 처리 방법 (파이썬 예외 처리 방법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예를 들어, 어떤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어와서 처리하는 상황에서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읽기 권한이 없는 경우 등이 그런 예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예외 처리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는 함수
def read_data_from_file(filename):
try:
with open(filename, 'r') as file:
data = file.read()
# 파일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
# 예를 들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다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음
print("파일에서 읽어온 데이터:", data)
except FileNotFoundError:
print(f"오류 발생: '{filename}'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except PermissionError:
print(f"오류 발생: '{filename}' 파일을 읽을 권한이 없습니다.")
except Exception as e:
print(f"오류 발생: {e}")
# 예외 처리를 테스트할 파일 이름
filename = "nonexistent_file.txt"
# 함수 호출
read_data_from_file(filename)
설명
- try-except 블록: 코드의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try 블록 안에 넣습니다. 여기서는 파일을 열어 데이터를 읽는 부분입니다.
- 여러 예외 처리: 각 예외 상황에 따라 다른 예외 처리 블록(except)을 사용합니다.
- FileNotFoundError: 파일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예외.
- PermissionError: 파일에 대한 읽기 권한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예외.
- Exception: 다른 모든 예외를 처리하는 범용 예외 처리. 이 경우에는 발생한 예외를 그대로 출력합니다.
- 마지막 예외 처리: 모든 예외 처리 블록 뒤에는 Exception as e처럼 모든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범용적인 예외 처리가 있어야 합니다. 이는 모든 예외를 잡아서 예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예외 처리 테스트: 예외를 발생시키기 위해 존재하지 않는 파일 이름을 전달하여 함수를 호출합니다. 이 경우에는 FileNotFoundError가 발생하여 해당 예외 처리 블록이 실행되고, 오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이렇게 예외 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중단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인터프리터 락(Global Interpreter Lock, GIL)은 파이썬의 특징 중 하나로,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파이썬 바이트코드를 실행하도록 제한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것은 파이썬 코드가 동시에 여러 CPU 코어에서 병렬로 실행되는 것을 제한합니다.
글로벌 인터프리터 락(GIL)의 역할 (글로벌 인터프리터 락이란 무엇인가요?)
- 단일 스레드 실행: GIL은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제어를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파이썬 코드를 실행할 수 없게 만듭니다.
- 다중 코어 활용의 제한: 멀티스레딩을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GIL 때문에 여러 CPU 코어를 동시에 활용하여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CPU-bound 작업을 병렬로 처리하려면 multiprocessing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 I/O 바운드 작업에서의 유효성: GIL은 I/O 바운드 작업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시간이 외부 I/O 작업(예: 파일 읽기/쓰기, 네트워크 통신)을 기다리는 동안 GIL이 해제되어 다른 스레드가 실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파이썬의 장점 유지: GIL이 존재하는 이유는 파이썬이 메모리 관리를 간편하게 하고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단순화하기 위함입니다. GIL 덕분에 파이썬 코드가 thread-safe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GIL은 파이썬의 멀티스레딩 성능에 제한을 가하지만, 일반적으로 I/O 바운드 작업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multiprocessing을 통해 CPU 바운드 작업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의 메모리 관리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소 다른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파이썬의 메모리 관리 방식 (파이썬은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나요?)
- 자동 메모리 관리: 파이썬은 개발자가 직접 메모리를 할당하거나 해제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객체가 필요 없어지면 인터프리터가 자동으로 메모리를 회수합니다.
- 참조 계산(reference counting): 파이썬은 참조 계산(reference counting) 기법을 사용하여 객체가 몇 번 참조되고 있는지 추적합니다. 객체의 참조 수가 0이 되면 자동으로 메모리에서 해제됩니다. 이는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가비지 컬렉션: 참조 계산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순환 참조(circular references)와 같은 복잡한 상황을 위해 가비지 컬렉션(gc) 메커니즘도 사용됩니다. 가비지 컬렉션은 주기적으로 실행되어 참조할 수 없는 객체들을 체크하고 메모리에서 해제합니다.
- 메모리 풀링: 작은 크기의 객체를 자주 생성하고 제거하는 경우, 파이썬 인터프리터는 이를 위해 메모리 풀링(memory pooling)을 사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즉, 작은 크기의 객체들을 반복적으로 할당하고 해제할 때 메모리 오버헤드를 줄여줍니다.
- 공유 데이터 및 불변성(immutability): 파이썬은 불변성 객체(immutable objects)를 재사용하여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예를 들어, 정수나 문자열과 같은 불변 객체는 한 번 생성되면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은 값의 객체는 한 번만 메모리에 유지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관리 최적화: 최신 버전의 파이썬은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는 다양한 기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generational garbage collection과 같은 고급 기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메모리 관리 방식 덕분에 파이썬은 개발자가 메모리 관리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파이썬에서 __init__ 메서드는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특별한 메서드입니다.
__init__ 메서드의 목적 (__init__메서드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 객체 초기화: __init__ 메서드는 객체가 생성될 때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객체가 생성될 때 필요한 초기값들을 설정하거나 멤버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코드를 여기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 생성자(Constructor) 역할: 파이썬에서 __init__ 메서드는 생성자(Constructor) 역할을 합니다. 즉, 객체가 생성될 때 호출되어 객체의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초기화 작업들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변수 설정: __init__ 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멤버 변수)를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클래스가 특정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__init__ 메서드에서 해당 속성을 초기화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상속 클래스에서의 활용: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__init__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초기화 작업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클래스의 상속 구조에서도 초기화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__init__ 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가 생성될 때 초기화되어야 할 인스턴스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name = name
self.age = age
def greet(self):
print(f"안녕하세요, 저는 {self.name}이고, {self.age}살입니다.")
# Person 클래스의 객체 생성 및 초기화
person1 = Person("영희", 30)
person2 = Person("철수", 25)
person1.greet() # 출력: 안녕하세요, 저는 영희이고, 30살입니다.
person2.greet() # 출력: 안녕하세요, 저는 철수이고, 25살입니다.
이 예제에서 __init__ 메서드는 name과 age라는 매개변수를 받아서 객체의 self.name과 self.age 인스턴스 변수를 초기화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객체는 초기화된 상태에서 greet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__init__ 메서드는 파이썬에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객체의 초기화를 간편하고 명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의 차이
얕은 복사 (Shallow Copy)
얕은 복사는 원본 객체의 참조를 복사하는 것입니다. 즉,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 그 안에 원본 객체의 참조를 복사합니다. 이 때 원본 객체와 복사본 객체는 같은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게 됩니다.
얕은 복사는 복합 객체(예: 리스트나 딕셔너리)를 복사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 경우 복사된 객체는 원본 객체의 요소들을 포함하게 되지만, 요소들이 참조하는 객체들은 동일한 객체를 참조합니다. 따라서 얕은 복사를 통해 생성된 객체가 수정되면 원본 객체도 같이 수정될 수 있습니다.
import copy
# 원본 리스트
original_list = [[1, 2, 3], [4, 5, 6]]
# 얕은 복사
shallow_copy = copy.copy(original_list)
# 첫 번째 요소 수정
shallow_copy[0][0] = 100
# 출력 결과 비교
print("얕은 복사 후:")
print("복사본:", shallow_copy)
print("원본:", original_list)
# 얕은 복사 후:
# 복사본: [[100, 2, 3], [4, 5, 6]]
# 원본: [[100, 2, 3], [4, 5, 6]]
위 예제에서 shallow_copy는 original_list의 얕은 복사입니다. 첫 번째 요소를 수정하면 original_list도 영향을 받습니다.
깊은 복사 (Deep Copy)
깊은 복사는 원본 객체의 모든 요소들을 새로운 객체로 복사하는 것입니다. 즉, 객체와 그 안에 포함된 모든 객체들도 모두 새롭게 복사됩니다. 이 경우에는 복사된 객체가 원본 객체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깊은 복사는 copy.deepcopy() 함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모든 중첩된 객체까지 새로운 복사본으로 만듭니다.
import copy
# 원본 리스트
original_list = [[1, 2, 3], [4, 5, 6]]
# 깊은 복사
deep_copy = copy.deepcopy(original_list)
# 첫 번째 요소 수정
deep_copy[0][0] = 100
# 출력 결과 비교
print("깊은 복사 후:")
print("복사본:", deep_copy)
print("원본:", original_list)
# 깊은 복사 후:
# 복사본: [[100, 2, 3], [4, 5, 6]]
# 원본: [[1, 2, 3], [4, 5, 6]]
위 예제에서 deep_copy는 original_list의 깊은 복사입니다. 첫 번째 요소를 수정해도 original_list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요약
- 얕은 복사: 원본 객체의 참조만 복사하므로 객체 내의 객체들은 동일한 것을 참조합니다.
- 깊은 복사: 원본 객체와 그 안의 객체들까지 모두 복사하여 독립적인 새로운 객체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복사 방식의 이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데이터 구조를 올바르게 관리하고 프로그램의 예기치 않은 동작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파이썬에서 예외 처리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예상치 못한 상황을 다루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예외 상황에 부드럽게 대응하고, 중단 없이 계속 실행될 수 있습니다.
예외 처리의 작동 원리 (파이썬 예외 처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보시오.)
- 예외 발생: 코드 실행 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파이썬은 해당 예외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파일을 찾을 수 없거나, 리스트의 범위를 벗어나는 인덱스를 사용하려고 할 때와 같은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예외 처리: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try-except 블록을 사용합니다. try 블록 안에는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를 넣습니다. 이 코드가 실행되는 도중 예외가 발생하면, 실행을 중단하지 않고 except 블록으로 넘어갑니다.
- 적절한 대응: except 블록에서는 예외를 처리하거나,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대체 코드를 실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예외 상황을 적절히 해결하거나 사용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오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예외 처리: 프로그램이 여러 종류의 예외를 다루어야 할 경우, 여러 개의 except 블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예외 유형에 따라 다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읽는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try:
# 파일 열기 시도
with open("myfile.txt", "r") as file:
content = file.read()
#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렸을 때 실행할 코드
print("파일 내용:", content)
except FileNotFoundError:
# 파일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예외 처리
print("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except PermissionError:
# 파일을 읽을 권한이 없는 경우 예외 처리
print("파일을 읽을 권한이 없습니다.")
except Exception as e:
# 그 외 예상치 못한 예외 처리
print("오류 발생:", e)
위 예제에서 try 블록 안에서 파일을 열고 읽는 작업을 시도합니다. 만약 파일을 찾을 수 없거나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각각의 except 블록에서 적절한 메시지를 출력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예외 처리는 프로그램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응하고,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명확한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파이썬에서 map과 filter 함수는 데이터 처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용한 함수들입니다.
map 함수의 목적
map 함수는 주어진 함수를 순회 가능한(iterable) 객체의 각 요소에 적용하여 새로운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주로 리스트나 튜플과 같은 컬렉션 타입의 모든 요소에 일괄적으로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의 각 요소에 제곱을 수행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 리스트 정의
numbers = [1, 2, 3, 4, 5]
# 각 요소에 제곱을 적용한 결과를 리스트로 반환
squared = list(map(lambda x: x ** 2, numbers))
print(squared) # 출력: [1, 4, 9, 16, 25]
이 예제에서 map 함수는 numbers 리스트의 각 요소에 lambda x: x ** 2 함수를 적용하여 각 요소를 제곱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squared 리스트에는 [1, 4, 9, 16, 25]가 저장됩니다.
filter 함수의 목적
filter 함수는 주어진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들로 구성된 새로운 이터레이터를 반환합니다. 주어진 함수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반환하는 조건을 가져야 합니다. 이 함수는 주로 리스트와 같은 컬렉션에서 원하는 요소들을 필터링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에서 짝수만을 필터링하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 리스트 정의
numbers = [1, 2, 3, 4, 5, 6, 7, 8, 9, 10]
# 짝수를 필터링하여 새로운 리스트로 반환
even_numbers = list(filter(lambda x: x % 2 == 0, numbers))
print(even_numbers) # 출력: [2, 4, 6, 8, 10]
이 예제에서 filter 함수는 numbers 리스트에서 lambda x: x % 2 == 0 조건을 만족하는 짝수만을 필터링하여 새로운 리스트 even_numbers에 저장합니다.
요약
- map 함수: 순회 가능한 객체의 각 요소에 함수를 적용하여 새로운 값을 반환합니다. 모든 요소에 일괄적으로 함수를 적용할 때 유용합니다.
- filter 함수: 순회 가능한 객체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이터레이터를 반환합니다. 원하는 요소를 필터링할 때 유용합니다.
이 두 함수는 데이터 처리와 변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코드를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도구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리스트 컴프리헨션(list comprehension)은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간단하고 간결하게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문법입니다. 이는 반복문과 조건문을 결합하여 리스트를 생성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리스트 컴프리헨션의 개념 (리스트 컴프리헨션의 개념에 대해 설명해보시오.)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하나 이상의 반복문과 조건문을 사용하여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줄로 작성할 수 있어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에서 짝수만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 일반적인 방법
evens = []
for i in range(10):
if i % 2 == 0:
evens.append(i)
print(evens) # 출력: [0, 2, 4, 6, 8]
위의 코드는 반복문과 조건문을 사용하여 짝수를 찾아 evens 리스트에 추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이제 이를 리스트 컴프리헨션으로 변경해보겠습니다:
#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사용한 방법
evens = [i for i in range(10) if i % 2 == 0]
print(evens) # 출력: [0, 2, 4, 6, 8]
이 예제에서 [i for i in range(10) if i % 2 == 0]는 리스트 컴프리헨션입니다. range(10)으로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반복하며, if i % 2 == 0 조건을 만족하는 짝수 i만을 리스트에 추가합니다.
리스트 컴프리헨션의 장점
- 간결함: 한 줄로 작성할 수 있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간결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성능: 일반적으로 리스트 컴프리헨션이 반복문을 사용하는 것보다 속도가 빠릅니다.
- 표현력: 복잡한 리스트 생성 로직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파이썬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기법으로, 데이터 변환, 필터링, 초기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코드를 더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이 기능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인터뷰에서 자주 묻는 파이썬 프로그래머 면접 질문 10가지 (124) | 2024.06.18 |
---|---|
파이썬이란 무엇인가요? (726) | 2024.06.05 |